로그인

  

 

 

박정희와 세여인이야기. 좌익처벌 받은 김학림의 부인 강씨 편지.

 

숙군 때 처형된 김학림의 아내 강아무개씨가 필자에게 보낸 답장편지 겉봉투

좌익 처벌 받은 김학림의 부인 강씨

최근 집에서 자료를 정리하다가 한동안 행방을 몰랐던 편지 한 통을 우연히 찾았습니다. 편지 수신 일자가 1999 1 19일로 돼 있으니 햇수로 12년이 넘은 것입니다. 편지봉투 겉면을 보니 제가 보낸 편지에서 제 주소를 잘라 되 붙였는데, 당시 제 소속이 대한매일(현 서울신문편집국 문화부로 돼 있군요이야기는 지금부터 10여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당시 박정희 일대기연재를 하면서 만주군관학교 동창생들을 더러 인터뷰했는데, 그 중 한 사람이 군관학교 1기 후배인 최주종(작고, 육군 소장 예편) 전 주공 사장이었습니다. 최 사장을 만나러 구 반포 주공아파트 자택을 방문했다가 숙군 당시 박정희와 함께 처벌받았던 김학림(金鶴林)의 부인이 일본에 살고 있다는 소식을 최 사장 부인에게서 들었습니다. 박정희 전 대통령은 숙군 때 유죄를 받은 좌익 전력 때문에 두고두고 논란이 돼 왔습니다그래서 이와 관련한 얘기도 들어볼 겸해서 김학림의 아내 강아무개 씨에게 편지를 보냈는데, 지금 기억으로 질문 내용은 남편 김학림의 구속 전후 사정과 박정희 등 주변 인사들에 관한 것이었습니다. 뒤늦게 도착한 편지 속에는 그간 강씨의 개인 사는 물론 놀라운 내용들이 상당히 많이 들어 있었는데주목할 만한 내용은 김학림과 박정희의 관계, 박정희 동거 녀 이현란의 출산이었습니다.

첫 결혼 후 협의 이혼... 한국전쟁 중 육영수 만나 재혼
박정희는 대구사범 4학년 때인 1935년 여름 부친의 강권으로 억지 결혼을 했습니다. 당시 대구사범 교칙에 재학생은 결혼하지 못하도록 돼 있어 비밀 결혼을 한 셈이죠. 상대는 선산군 도개면에 사는 김호남(金浩南, 1920~1990)으로 그보다 세 살 아래였습니다. 두 사람은 부부 사이가 그리 원만 하지는 못했던 것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박정희는 만주군관학교 입학 후 여름방학이 돼 귀국해서도 처자가 있는 고향집 대신에 교사 시절에 머물렀던 문경 하숙집에서 시간을 보내다 돌아가곤 했습니다. 결국 두 사람은 1950 11월 협의 이혼하였는데, 그 사이에 딸을 하나 두었습니다. 박재옥(朴在玉, 74)이 그 주인공인데, 박재옥의 남편 한병기(韓丙基, 80)씨는 3공 시절 민주공화당 국회의원과 UN대사 등을 지내며 박정희의 총애를 받았습니다. 박정희가 두 번째 부인인 육영수 여사를 만난 것은 한국전쟁 중이었습니다. 1950 8월 하순 피난지 부산에서 송재천(宋在千) 소위의 소개로 맞선을 보았는데, 4개월 뒤인 그해 12월 대구 계산성당에서 허억 당시 대구 시장의 주례로 결혼식을 올렸습니다. 박정희-육영수 두 사람의 결혼식에는 일화가 몇 가지 전해오고 있습니다. 우선 육 여사 부친의 불참으로 박정희의 대구사범 스승이 대신 신부를 인도했습니다. 또 주례가 "신랑 육영수 군과 신부 박정희 양은…"이라며 신랑신부의 이름을 바꿔 불러 식장을 웃음바다로 만들었으며, 또 신부의 예물 반지를 갖고 있던 송재천이 이를 잃어버렸다고 해서 김재춘이 급히 나가서 새로 하나 사오기도 했습니다. -육 두 사람 사이에서는 근혜, 근영, 지만 등 21남을 두었습니다.

 

육영수와 결혼하기 전 여대생과 동거
한편 박정희는 육영수와 결혼하기 직전에 한 여대생과 동거를 하고 있었습니다. 원산 루시여고 출신으로 당시 이화여대 1학년이던 이현란(당시 24)이 그 주인공인데, 이현란은 이국적인 외모에다 키도 크고 성격도 쾌활 해 박정희 눈에 든 모양입니다. 이들 두 사람은 1948년부터 1950년 초까지 약 3년가량 사실혼 관계에 있었는데요, 1947 12월 경리장교였던 박경원(朴璟遠, 작고)의 결혼식에 참석했다가 처음 만났습니다. 당시 박정희는 육군 대위로 조선경비사관학교(육사 전신) 중대장으로 근무하고 있었는데, 이현란과 약혼한 후 곧 이현란을 용산 관사로 데리고 와서 동거를 시작했습니다. 그러다가 박정희가 여순 사건에 연루돼 감옥생활을 하면서 두 사람 사이에 금이 갔으며, 이후 이현란이 수차례의 가출과 방황을 해 결국 두 사람은 헤어지게 됐습니다. 박정희와 동거 녀 이현란에 대해 그간 알려진 내용은 이 정도가 대부분입니다. 김학림의 아내 강씨가 필자에게 보낸 편지는 본문 6, 추신 1장 등 총 7장인데 본문 가운데 박정희와 그의 동거 녀 이현란 관련 부분을 골라 옮겨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사망한 아이는 용산 관사 뒷산에 암매장"
어느 날 신성모 국방장관의 명령으로 3개월 만에 부산을 떠나서 저희는 태릉 육사(陸士)로 오게 되었습니다. 그 당시 살림집은 초가집 건넛방이었습니다. 거기에서 생남(生男)하였지만 군인 장교들이 초가집 건넛방에서 출퇴근 하였습니다. 순서대로 황택림(黃澤林) () 박정희도 초가집 건넛방에서 살았는데, 이대 생(梨大生)이었던 이여사(李女史/이현란)가 매일은 아니지만 같이 살았었고(중략), 이 동네에서 약 1년 쯤 지난 후에 명령으로 용산(龍山) 군인 관사로 이사 했었는데 관사 입구 제일 가까운 데는 고() 강문봉(姜文奉)이 자리잡았었고, () 박정희, 황엽(黃燁) 장군, 저희들 세 식구는 깊숙이 들어가서 자리를 잡았었는데 이 때에도 이여사(李女史/이현란) 하고 고() 박정희는 아주  사이 좋게 재미있게 살았습니다(중략). 이여사(李女史/이현란)가 저희 집에 와서 우리 남편도 소식이 없다고 하면서 걱정을 하였는데 나중에 체포된 사실을 알고 어찌 할 바를 몰랐었습니다. 그러던 중에 이여사(李女史이현란)가 광화문(光化門) 산부인과에 가서 생남(生男)(중략) 퇴원하여 약 6개월 후 병명(病名)은 몰랐었지만 사망(死亡)했었습니다. 작명(作名)도 안 했었습니다. 그 때 한 말이 너는 무슨 기구한 운명으로 애비 얼굴도 모르고 죽었느냐고 하면서 슬피 울었었습니다(중략). 그 후에 소문은 이여사(李女史/이현란)의 남동생이 청와대 출입기자여서 이여사(李女史/이현란))의 소식을 고() 박정희에게 전하여 주고 서로 연락이 있었다는 소문을 들었습니다. 또 소문에 의하면 육여사(陸영수女史)하고 결혼하라고 중매를 했을 때도 이여사(李女史/이현란)의 미련(未練) 때문에 오랫동안(몇 年) 망설였다고 합니다. 이여사(李女史/이현란)는 미인(美人)이고 애교가 있고 매력이 있었기 때문에 잊을 수가 없었다고 하는 말을 들었습니다(중략).

 

추신

이어 덧붙인 추신(追伸) 가운데 박정희와 이현란 관련 내용을 옮겨보면 다음과 같습니다(중략) . 위 편지 내용과 관련해서 전후 사정에 대한 설명을 보탤 필요를 느낍니다. 우선 강씨(김학림의 부인)는 백선엽(白善燁)의 권고로 1946 12월 부산 중앙교회에서 김학림과 결혼식을 올렸습니다. 강씨에 따르면, 남편과 백선엽은 의형제였으며 부산 생활 3개월 만에 김학림이 육사로 발령이 나면서 태릉으로 이사하였구요. 한편 박정희도 대위로 승진해 1947 9월 육사로 옮겼는데, 당시 박정희(대위)는 제1중대장, 김학림(대위)은 제2중대 2구대장을 맡고 있었습니다. 이들은 태릉 시절부터 친하게 지냈는데, 이 때 이미 박정희는 포섭됐던 것 같습니다. 1948 10월 여순 사건이 발생하자 잠시 여순반란토벌사령부로 파견됐던 박정희는 육사로 복귀한 직후인 그해 11 11일 김창룡이 지휘하는 방첩 대에 체포됐습니다. 이후 남산 근방의 헌병사령부에서 며칠 취조를 당한 후 서대무형무소로 넘겨졌습니다. 한편 박정희는 체포 되자마자 "이럴 때가 올 줄 알았다"며 자술서를 쫙 써 내려갔는데, 평소 자신이 알고 있던 군부 내 남로당 조직원 명단을 전부 털어놓았습니다. 군 수사당국은 이 명단을 통해 육사는 물론 군부 내 좌익분자들을 대거 체포하였는데, 명단 제공 공로로 박정희는 군사재판에서 무기징역을 선고 받고도 목숨을 건졌습니다. 김창룡 팀으로부터 몇 차례 신문을 받은 후 박정희는 그해 연말에 석방됐습니다. 한은 영원합니다'라고 적었는데 왜 원한을 가졌는지 궁금하나 편지만으로는 그 이유를 알 길이 없습니다(이하 생략) (11.05.16 07:42l 최종업데이트 11.05.16 19:18l 정운현 jwh59)

 

차락우 칼럼 매주 목요일 www.seoulvoice.com에 게재됨

한국 민속연구원 제76720220224 charakwoo@hotmail.com

 

 

 

 

 

 

 

 

 

 

번호 이름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72 차락우 소련에 속지말고 미국을 믿지마라 NYT. 김여장의 개문발차. 러 침공에서 김정은이 얻은것? 한국 71% 핵무기 찬성 ㅁ 남송 2022.04.06 84
471 차락우 새 술은 새부대에, 윤석열 대북정책 기대. 트럼프 이 박 문 모두 계란 바위치기. 김정은 미국의 3순위 우크 중국 다음 김정은 남송 2022.03.30 70
470 차락우 어쩌다 대통령 영칠삼(0.73%. 윤석열 살린 비상상고?전두완 사형 구형. 재외동포에 손편. 깡패뒤엔 미녀지 남송 2022.03.24 79
469 차락우 정치는 요지경. 윤석열 1등공신은 김건희. 윤석렬 누가 키웠나. 10년 밥데기 대통령되다. 김건희 사랑 카페. 운세 개발 논문 남송 2022.03.16 65
468 차락우 윤석열 대통령, 문대통령 대북 선린정책 계승 할끼? 정주영 평양방문. 정주영 회고록에서 후세에게 부탁한 말 남송 2022.03.09 77
467 차락우 러, 우크라이나 침공은 북에 핵정당성 부여. 연암 박지원의 열하일기. 홍순언과 여인. 청나라 장군 이여송은 조선인 7대손 남송 2022.03.02 104
» 차락우 박정희와 세 여인 이야기. 촤익처벌 받은 김학림의 부인 강씨 편지 남송 2022.02.23 83
465 차락우 북 핵포기 대화, 100 배 강국 미국이 유도해야. 트럼프 김정은과 소통. 한반도 통일 모두발언 내가 대통령이라면 남송 2022.02.16 87
464 차락우 백마 탄 김정은 영상 저작권료 얼마? 중 러가 북미사일 기술 경비 공급. 여인천하 대선 정국 이 윤 정상회담 순서 공방 남송 2022.02.09 101
463 차락우 지는해 일본. 한국의 반토막. 한국2등 일본14등. 7번째 미사일 발사. 미, 주한미군. 예볜 자치구 해체위기 남송 2022.02.02 91
462 차락우 미국, 발등의 불 전쟁 눈앞에. 바이든, 푸틴도 제재하겠다. 윤석렬의 한마디 일파만파. 김건희와 최순실 남송 2022.01.26 126
461 차락우 북-중 무역재개. 북 탄도 미사일 4번째 발사 한국군부때문. 북 올림픽참가 박탈 남송 2022.01.19 120
460 차락우 북 김정은, 미본토 항공기 이륙금지 시키다. 극 초음속 10마하 미사일 발사. 한국, 일본제치고 G7진입 눈앞에. 삼성타도에 실패한 일본 남송 2022.01.12 103
459 차락우 북 신무기, 세계 4번째 나라 극초음파 미사일 발사. 탈북 독고인 재산 상속은? 왜 북 이탈 주민이 재입북하나? 통일 차선책은 남북 공존 2030대는 안다 왜 북이탈 주민 재이북하나? 통일의 차선책은 남북공존. 2030대는 안다 왜 북 이탈주민 재이북하나. 탈북인으이 재입북. 통일의 차선책은 남북 공존, 20 30대 선호 남송 2022.01.05 114
458 차락우 미군 철수는 미국에 큰손해. 철수 않할 것. 머슴꾼 아들 대대로 머슴꾼아니다. 남송 2021.12.28 107
457 차락우 노무현 김정일 회담 공염불. 한미 종전선언 합의해도 일방통행일뿐 급한것 없다. 대선 후보자. 향후 북 경제 해커손에 달려(대중 석탄수출과 동등한 돈)) 남송 2021.12.22 163
456 차락우 김정은의 제1큰 실수. 하원 종전선언 반대 35 촉구23. 한국계 미 하원 의원 모두4 명. 남1 여3 남송 2021.12.14 81
455 차락우 북, 새마을 운동. 미국, 종전선언 만족. 미중, 인권문제로 충돌. 김정은이 무서워하는 인권문제. 인권탄압죄는 영원한 것 남송 2021.12.07 84
454 차락우 미국이 한일합방 승인 태프트-가쓰라협약. 남북철도 연결 미국이 파탄. 미국을 믿지말고 소련에 속지마라. 종전 주인공은 김정은 남송 2021.11.29 103
453 차락우 권율장군과 오성 이항복. 배아래 열린구멍 뚫은 죄. 협상학은 부자되는 길 남송 2021.11.16 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