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남북 정상회담 화보 발간. 윤석열 대북정책 윤곽.

김정일의 은둔에서 개방. 1 사진찍기.

, 소형화 경량화 탄도 미사일 발사 일상화 유엔 제재 아니다.  

 

윤석열 20 대통령 대북대책 윤곽 들어 낳다

석열 대통령은 북한을 향해서는일시적으로 전쟁을 회피하는 취약한 평화가 아니라 자유와 번영을 꽃피우는 지속 가능한 평화를 추구해야 한다면서 북한의 개발에 대해서도 평화적 해결을 위해 대화의 문을 열어 놓겠다고 했다. 이어북한이 개발을 중단하고 실질적인 비핵화로 전환한다면 국제사회와 협력해 북한 경제와 북한 주민의 삶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있는 담대한 계획을 준비하겠다 말했다. 평화는 자유와 인권의 가치를 존중하는 국제사회와의 연대에 의해 보장된다 한미 동맹 등을 통해 안보 문제에 접근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대북 구상은 비교적 짤막했다. 이는 북핵 실험 재개가 우려되 상황에서 북한에 유화적 제스처를 취할 수도, 북한을 자극할 수도 없다는 점이 고려됐다는 분석이 왔다. 취임사 분량은 3303자로 전임 대통령들의 취임사보다 비교적 짧았다. 이명박 8969, 박근혜 5558자였 문재인 3181자였다.

 

- 교역 .  

북한-중국 화물열차 운행이 4월말로 중단됐다. 올해 재개했던 북중 화물열차 운행이최근에 중국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유행상황으로 중단됐다이와 관련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지난달 29 정례브리핑에서단둥(丹東)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해 북중은 우호적 협의를 거쳐 북한 신의주-단둥 철도 화물운송을 임시 중단하기로 했다 밝혔다. 열차교역 2 중단됐다가 1 중순 재개됐으나, 4개월 만에 다시 중단됐다.

 

통일부, 대북 민간 물자 반출 4

통일부가 지난 3~4 대북 인도 협력 물자 반출을 4 추가 승인했다. 이에 따라 올해 민간단체 대북 물자 반출 승인 건수는 모두 7건으로 늘었다. 59(2022) 통일부에 따르면 올해 3월과 4 대북 물자 반출 승인 3건이다. 해당 물자는 북한 취약계층 지원을 위한 보건의료 영양 분야. 민간단체의 대북 협력물자 반출 전체 승인 건수는 18건이며, 지난해 승인된 11건도 보건의료, 영양 분야 물자 중심이었다. 정부는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 꾸준히 대북 물자 반출 승인을 이어가겠다는 계획이다.

 

북한, 문재인-김정은 화발행남북관계 대전환남북정상이 언제 만날까!

북한이 54(2022) 문재인-김정 사이에 진행된 3차례의 남북 정상회담을 상세히 기록한 화보를 발행했다. 북한의대외 선전매체인 우리민족끼리를 통해 공개된 이번 화보집은 북남관계의 대전환-2018”이라는 제목으로 발행됐다. 화보집에는 지난 2018 427, 526일에 판문점에서 진행된 정상회담과 같은 9 대통령이 평양을 방문해 진행된 정상회담 장면이 사진으로 기록됐다. 아울러 평창 동계올림픽 참가했던 김여정을 비롯한 북한의 특사단이 방남한 순간들도 화보집에 담겼다. 이후 우리 특사단의 방북 김정은과 접견한 정상회담의 성사 과정이 모두 포함돼 있다. 화보집에는 북남관계의 문재인 대통령 내외와 서훈 당시 국정원장,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남북 정상회담에 기여한 사람들의 사진도 모두 실렸다. 북이 남북정상이 3번이나 만난 것을 화보로 발행했다는 것은 역사적인 일이다. 김일성 김정일 당시에 비하면 남북관계가 일보 했다고 평가 만한 사건이다. 하지만 길은 다시 멀어졌다. 언제 남북정상이 있을까 반신반의 하며 기대해본다.

남북관계개선은 정은의 영도력과 결단에 따른 이라 주장

화보집에서 북한은민족분열사상 일찍이 있어본 적이 없는 극적인 변화가 일어났다화폭은 장장 70년을 헤아리는 민족 분열의 역사, 불신과 대결의 역사에 종지부를 찍고 평화와 번영, 통일의 시대를 김정은의 철의 의지와 탁월한 정치 실력, 애국애족의 소중한 결실이라고 주장했다. “전례 없이 진행된 차례의 북남 수뇌상봉(정상회담) 북남관계가 완전히 새로운 단계에 들어섰다는 것을 내외에 뚜렷이 보여 줬다라며 남북관계 개선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도 덧붙였다.

 

북은 최초로 김정은의 대외 활동을 공개 하기 시작했다

김정일은 은둔의 생활을 하며 모든 것을 극비였던 것에 비하면 정은은 정상외교 활동을 기록하는 각종 화보집을 수시로 발간한 있다. 지금 한국언론들도 북한 화보를 인용해 북한에 대한 보도도 많이 하고 있다. 특히 북한은 실패로 귀결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정상회담 화보를 발행하기까지 했다. 그러나 지난 2019 6 판문점에서 진행된 남북미 3 정상 조우 했을 당시 트럼프와 김정은이 만난 것은 보도 하면서 대통령과의 만남은 고의로 누락하기도 했다. 이를 두고 북한이 도적으로 남북 정상회담의 성과를 무시하고 통미봉남(通美封南) 하려 한다는 해석이 나오기도 했다


남북정상이 마지막 친서 교환으로 피차 두사람은 좋게 끝을 냈다.

그러나 이번 화보 발행으로 북한 역시 문재인 정부 때의 남북관계에 대해 진일보 했다는 의미평가를 수도 있게 됐다. 같은 북한의 행보는 문재인 대통령의 퇴임을 부각시키려는 것으로 보인다. 남북 정상은 지난달 4 20~21 친서를 마지막으로 교환하기도 했다. 김정은은 친서에서임기 마지막까지 민족의 대의를 위해 마음 써온 대통령의 고뇌와 노고에 대해 높이평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정은 1호사진찍기 대민 행보. 김정은의 사진 정치

북한이 김정은의 기념사진 행보를 조명하면서 우상화 분위기를 조성 중이다. 정은은 최근 사진 촬영을 매개로 대민 일정을 부쩍 늘리고 있다. 북한 노동당 노동신문은 지난 41 정은 조선인민혁명군 창건 90주년 열병식에 기여한 평양 대학생, 근로청년들과 기념사진을 촬영 것을 크게 조명하면서충격적 소식이라고 했다. 분량이 20 집단 20() 달했으며 430 중앙위원회 책임 간부에게 직접 전화를 걸어 김일성광장 바닥대열에 있던 청년들 함께 기념사진을 겠다 하시면서 장소까지 정했다고 설명했다. 정은은 지난 시기 있어본 없는 일이지만 그렇게사진을 찍는 것이 우리 청년들의 수고도 치하하고 그들의 혁명열, 애국열, 투쟁열도 고무격려해 주는 좋은 계기가 이라고 했다 매체 설명이다. 아울러총비서는 무려 20번이나 자리를 옮겨가며 기념사진을 찍었는데 여기에도 우리 청년들을 극진히 사랑하는 뜨거운 정이 그대로담겨 있다 전했다(참고; 80명씩 15줄로 있어 1200명이 한그룹으로 사진을 찍었다고 한다. 돋보기로 봐야 본인을 찾아야할 정도이지만 1호사진에 들어갔다는 만으로  가문의 영광이라고 한다)
 

425 창건 90주년 열병 후에도 1호사진

425 조선인민혁명군 창건 90주년 계기 열병식 행사를 대대적으로 진행한 후에도 김정은은 주요 기여자 대상 기념사진 촬영을 연쇄적으로 진행했다. 열병식 참가 각급 부대· 단위 지휘관· 병사, 조선방송위원회 방송원·기자·촬영가·편집원 등과 사진 촬영을 했다. 428일엔 조선인민혁명군 창건 90 경축행사 참가자들과 사진 찍었다. 열병식 행사를 성과적으로 지휘한 지휘성원들을 중앙위 본부청사에 불러 격려했다면서 이들과 함께 촬영한 사진을 430 공개했다. 나아가 51일엔 평양 대학생, 청년들과 사진 촬영했다는 것을 다음날인 52 보도했다. 북한은 정은의 우상화 빈도를 높이면서 충성, 헌신을 요구하는 내부통제 강화 기조를 이어오고 있다. 2020 열병식에는 2, 2021 16장이었던 것이 2022 열병식에는 57장으로 증가 했다.
 

54 , 탄도미사일ICBM 발사

북한이 지난 54(2022) 대륙간탄도 미사일(ICBM) 발사했지만 북한 관영매체 종전과 달리 발사 했다는 사실을 공개하지 않고 있어 그런지 주목하고 있다. 과거에는 발사 1일후에는 틀림없이 발사했다고 자랑하듯 보도 했지만 이번엔 침묵하고 있다.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북한은 54 123분께 북한 평양시 순안 공항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탄도 미사일 1발을 으며 비행거리는 470, 고도는 780㎞로 탐지됐다. 속도는 마하 11이었다. 발사 사실 숨긴 이번이 처음이다.

 

57 , 잠수함 탄도 미사일SLBM 발사

지난 54 대륙간 탄도미사일을 발사한지 3일만인 57 잠수함에서 탄도미사일(SLBM) 발사했다. 비거리는 600, 고도는 60㎞로 낮았다. 합동참모본부는우리 군은 오늘 오후 2 7 북한 함경남도 신포 해상 일대 잠수함에서 참수함 탄도미사일 1발을 발사했다고 밝혔다.

 

, 이번에도 도발만SLBM 발사 침묵

북한은 지난 4 대륙간 탄도미사일 그리고 7 잠수함발사 탄도미사일 발사해 3 차이를 두고 미사일 발사했지만 차례 모두 보도하지 발사를 숨기고 있는지 다양한 해석을 자아내고 있다. 그간 북한은 대체로 미사일 발사 다음날 내용을 공개해 왔다. 이에 대해선 북한이 효과를 고려해 무기 관련 내용 공개시기를 조율 중이란 해석   북한이 군사 행동 일일이 보도하지 않고 앞으로 군사행동을 일상화하겠다는 것이란 시선도 있다. 탄도미사일 발사 군사 행동은 별도 조명하지 않아도 국가의 정상적 자위권 행사라는 기조의 행동일수 있다는 견해. 유엔제재에 해당하지 않는 단거리 경량화 소형화 무기훈련은 일상 군사 훈련이므로 일일이 보도할 의무가 없기 때문이라는 해석도 있다.

 

차락우 칼럼 매주 목요일 게재 www.seoulvoice.com

한국민속 연구원 778 20220512 charakwoo@hotmail.com
 

 

 

 

번호 이름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92 차락우 김여정, 핵은 북의 국체 돈과 교환 불가. 발사지점 모르는 남 군부 수준. 윤정부와 전정부의 대북전책의 차잇점. 북 10만 노동자 우크라 수출 남송 2022.08.24 79
491 차락우 김정은 코로나 환자 확진.윤석열에 뿔났다. 물건너간 비핵화. 유대통령 6개 대담한 구상 이미실패한 것 남송 2022.08.17 67
490 차락우 북, 10만 지원병 우크라이나 투입. 부강소시식 브로커도 감감 무소식. 부-중 화물자 운행 재개. 비핵 3천 재탕 남송 2022.08.10 77
489 차락우 김정은 전승절 연설, 핵 턱밑에 윤석렬과 군부 깡패들. 미 대북정책 강대 강. 한국 지키겠다 남송 2022.08.03 70
488 차락우 북,노동자 돈바스에 수출. 핵탄두 소형화 발사 단계. 미 핵우산 종이호랑이. 한국 핵소유해야. 러 우크라 침공, 한국산무기 수출 어부지리 남송 2022.07.27 74
487 차락우 떴다 비행기 선제타격, 한미 초음속 전투기 합동훈련 이번이 최초. 종북 좌파딱지 신북풍. 송북 2선원 죽었나? 지 신북풍. 두 선원 송북 남송 2022.07.19 67
486 차락우 북, 장마당은 빈마당. 북 왕따국 힘들다. 제2 고난의 행군. 시지핑 비핵화 방해. 트럼프와 폼페이오 고스톱. 아베의 자산 헌법개정 남송 2022.07.13 76
485 차락우 중,부-중 경계 100%차단. 제2고난의 행진. 미국은 북핵빙자 세계를 무기화했다며 유엔 비토 연발. 대북 비핵화는 실패의 한 사례 남송 2022.07.06 74
484 차락우 무기 공개하는 나라 정상 김정은뿐. 미국, 180년 110번 전쟁 무패. 선 비핵화 고집 않겠다. 윤정부 새 대북 정책은?? 남송 2022.06.29 77
483 차락우 야담 3천리 북한판 재미 있다. 이민자의 큰 고민. 성의 영문 표기 토일. 시급한 국가지대사 남송 2022.06.22 81
482 차락우 북,개성공단 학생교복 생산. 한국 핵자강론. 10번째 핵보유국?남북 핵균형. 미 대북 압박 계속한다 남송 2022.06.15 66
481 차락우 눈에는 눈. 제일 독한 북 공산당. 제2 고난의 행진. 북 붕괴 차비. 주민은 죽어도 공산당은 살아야 한다 남송 2022.06.08 74
480 차락우 한미정상회담 요점. 한국 대미투자 13위. 안보 경제 기술동맹. 핵없는 한국 전쟁궈도 없다. 30년 비핵 왜 실패했나 남송 2022.06.01 74
479 차락우 安美經中에서 安美經世.안보는 미국과 장사는 왕서방에서 세계로.중국의 공개적 불만. 남송 2022.05.25 70
478 차락우 문재인 특사 평양간다? 바이든 왜 문재인 마나나. 윤 대통령 양해. 세상에 통일 좋하는 나라 없다 남송 2022.05.18 73
» 차락우 북, 남북 정상회담 화보 발간. 윤석열 대북정책 윤곽. 북, 은둔에서 개방? 북, 1호시진찍기. 미사일 발사 일상화 남송 2022.05.11 78
476 차락우 푸틴, 우크라이나 침공 오판. 미국이 1등국 등극. 유럽 러시아에 등돌려. 북 또 탄도미사일 발사 남송 2022.05.04 78
475 차락우 남북정상 마지막 친서. 김정은 문 존경. 미국 남북친서 지지. 바이든 서한은? 북, 핵은 우리의 사명 남송 2022.04.27 73
474 차락우 평양, 김일선빼지 달지 않은 세번째 여성은 누구? 묘수가 보이지 않는 대북 정책. 그나물에 그 나물 남송 2022.04.20 70
473 차락우 북과 러에 이어 중국도 제재해야. 평양 살림집 1만채 80층 완공. 대북제재 비핵화 강대강 주한 미대사 지명 14개월만에 남송 2022.04.13 110